서울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서울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단 통합검색

자료실

서울시민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신뢰받는 정책 파트너

자치구

자치구별 지역통계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성북구 동대문구 중랑구 광진구 성동구 중구 종로구 서대문구 은평구 용산구 마포구 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동작구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도봉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www.dobong.go.kr/

도봉구는 서울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25,257명으로 서울의 3.4%에 해당하고 도봉동, 방학동, 쌍문동, 창동 등 14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0.679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3.4%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은 9.4%로 서울시 평균 10.3%에 비해 0.91배 낮고 노인인구 비율은 19.1%로 서울시 평균 16.1%보다 1.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강북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gangbuk.go.kr/

강북구는 서울의 동북단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08,055명으로 서울의 3.2%에 해당하고 우이동, 번동, 미아동 등 13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3.636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3.9%를 차지한다. 저출산 가속화로 유소년 및 생산연령 인구 비율이 모두 감소 추세이며, 합계출산율도 0.550명으로 자치구 중 하위 수준이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6%로 서울시 평균 16.1%보다 1.28배 높고 타자치구에 비해 매우 높은 편으로 인구변화대응정책이 필요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노원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nowon.kr/www/index.html

노원구는 서울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523,037명으로 서울의 5.4%에 해당하고, 월계동, 공릉동, 상계동 등 19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35.596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5.9%를 차지한다. 합계출산율은 가임기 여성 1명당 0.695명, 유소년 인구 비율은 11.0%로 서울시 평균 0.642명, 10.3%에 비해 1.08배, 1.0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성북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b.go.kr/

성북구는 서울의 북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437,153명으로 서울의 4.5%에 해당하고 돈암동, 안암동, 보문동 등 20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4.621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4.1%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10.6%, 노인인구비율이 16.8%로 서울시 평균인 10.3%, 16.1%보다 1.03배, 1.05배 높고 생산연령인구 비율이 72.6%로 서울시 평균인 73.6%보다 0.99배 낮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동대문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ddm.go.kr/

동대문구는 서울시의 동부 중앙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42,837명으로 서울시의 3.5%에 해당하고 장안동, 회기동, 답십리동, 청량리동 등 14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4.251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2.4%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은 9.3%로 서울시 평균 10.3%에 비해 0.90배 낮으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8.0%로 서울시 평균 16.1%에 비해 1.12배 높게 나타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중랑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jungnang.go.kr/

중랑구는 서울의 동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94,702명으로 서울의 4.1%에 해당하고 면목2동, 면목 4동, 면목 5동, 면목 7동 등 16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8.531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3.1%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9.0%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0.87배 낮고 노인인구비율이 17.6%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1.09배 높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광진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gwangjin.go.kr/

광진구는 서울의 동북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46,682명으로 서울의 3.6%에 해당하고 군자동, 중곡동, 자양동 등 15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7.075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2.8%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9.2%로 서울시 평균 10.3%보다 0.89배 낮았으며 합계출산율 또한 0.527명으로 서울시 평균 0.642명보다 0.82배 낮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성동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sd.go.kr/

성동구는 서울의 동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293,446명으로 서울의 3.0%에 해당하고 왕십리동, 마장동, 사근동 등 17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6.804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2.8%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비율이 10.1%, 노인인구비율이 15.5%로 서울시 평균인 10.3%. 16.1%보다 0.98배, 0.96배 낮고 생산연령 인구비율이 74.5%로 서울시 평균인 73.6%보다 1.01배 높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홈페이지http://www.junggu.seoul.kr/

중구는 서울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125,240명으로 서울의 1.3%에 해당하고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등 15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9.974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1.6%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7.9%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0.77배 낮고 노인인구비율이 19.3%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1.20배 높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종로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jongno.go.kr/

종로구는 서울의 중북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149,384명으로 서울의 1.5%에 해당하고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등 17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3.973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4.0%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8.49%, 생산연령 인구 비율이 72.6%로 서울시 평균인 10.3%, 73.6%보다 0.82배. 0.99배 낮고 노인인구 비율이 19.0%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1.18배 높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서대문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sdm.go.kr/

서대문구는 서울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12,173명으로 서울의 3.2%에 해당하고 천연동, 홍제동 등 14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7.686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2.9%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10.0%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0.97배 낮고 노인인구비율이 17.2%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1.07배 높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은평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www.ep.go.kr/

은평구는 서울의 북서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479,835명으로 서울의 5.0%에 해당하고 녹번동, 불광동, 갈현동 등 16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9.789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4.9%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10.0%, 생산연령 인구비율이 72.3%로 서울시 평균인 10.3%, 73.6%보다 0.97배, 0.98배 낮고 노인인구 비율인 17.7%로 서울시 평균인 73.6%보다 1.10배 높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용산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yongsan.go.kr/portal/main/main.do

용산구는 서울의 중앙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230,040명으로 서울의 2.4%에 해당하고 후암동, 용산2가동, 남영동 등 16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1.870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3.6%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9.0%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0.87배 낮고 노인인구 비율이 17.3%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1.07배 높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마포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mapo.go.kr/

마포구는 서울의 서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71,890명으로 서울의 3.8%에 해당하고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등 16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3.884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3.9%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10.4%로 서울시 평균인 10.3%와 비슷한 수준이고 노인인구비율이 14.5%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0.90배 낮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강서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www.gangseo.seoul.kr/

강서구는 서남권의 중심지이며 총 인구수는 580,185명으로 서울의 6.0%에 해당하고 가양동, 공창동, 화공동 등 20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1.463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6.8%를 차지한다. 이주민 인구비율은 2.2%로 서울시 평군 4.8%에 비해 0.46배 낮은 반면 등록장애인 인구비율은 5.0%,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은 4.8%로 서울시 평균 4.1%, 3.8%에 비해 1.22배, 1.26배 높게 나타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양천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yangcheon.go.kr/

양천구는 서울의 남서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454,251명으로 서울의 4.7%에 해당하고 목1동, 목2동, 목3동 등 18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7.470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2.9%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12.4%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1.20배 높고 노인인구비율이 14.4%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0.90배 낮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구로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guro.go.kr/

구로구는 서울 서남단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484,408명으로 서울의 4.2%에 해당하고 오류동, 개봉동, 구로동, 신도림동 등 15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0.136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3.3%를 차지한다. 이주민 인구비율이 13.5%, 등록장애인 인구비율이 4.5%로 서울시 평균 4.8%, 4.1%보다 2.81배, 1.10배 높게 나타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영등포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ydp.go.kr/www/index.do

영등포구는 서울의 남서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79,480명으로 서울의 3.9%에 해당하고 여의동, 당산1동, 당산2동 등 18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4.355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4.0%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비율이 9.8%, 노인인구비율이 16.0%로 서울시 평균인 10.3%. 16.1%보다 0.95배, 0.99배 낮고 생산연령 인구 비율이 74.2%로 서울시 평균인 73.6%보다 1.01배 높아 전체적으로 서울시와 유사한 인구 구성 비율을 보였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동작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dongjak.go.kr/

동작구는 서울의 남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391,220명으로 서울의 4.0%에 해당하고 노량진동, 상도동, 사당동, 신대방동 등 15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6.338km2로 서울시 면적의 2.7%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9.6%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0.93배 낮고 노인인구비율은 16.6%로 서울시 평균인 16.1%와 유사한 수준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금천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geumcheon.go.kr/portal/intro.do

금천구는 서울의 남서단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231,733명으로 서울의 2.4%에 해당하고 가산동과 독산동, 시흥동 등 10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3.014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2.1%를 차지한다. 저출산·고령화로 65세 이상 노인인구(17.0%, 고령사회)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등록장애인 인구비율동 전년수준인 4.9%로 서울시 평균 4.1%에 비해 1.20배 높게 나타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관악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www.gwanak.go.kr/

관악구는 서울 도심 남측 외연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495,060명으로 서울의 5.1%에 해당하고 남현동, 낙성대동, 행운동 등 21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9.563km2로 서울시 면적의 4.9%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은 7.1%, 합계출산율은 0.474명으로 서울시 평균 10.3%, 0.642명보다 0.69배, 0.74배 낮게 나타났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서초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seocho.go.kr/

서초구는 서울의 남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425,126명으로 서울의 4.4%에 해당하고 서초1동, 서초2동, 서초3동 등 18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6.900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7.7%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13.4%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1.30배 높고 노인인구비율이 14.1%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0.88배 낮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강남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gangnam.go.kr

강남구는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539,231명으로 서울의 5.6%에 해당하고 논현동, 삼성동, 역삼동, 세곡동 등 22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39.497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6.5%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은 12.2%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1.19배 높았으나 노인인구비율은 13.9%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0.86배 낮았으며 합계출산율 역시 0.537명으로 서울시 평균인 0.642명보다 0.84배 낮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송파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ongpa.go.kr/index.jsp

송파구는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667,960명으로 서울의 6.9%에 해당하고 풍납1동, 풍납2동, 거여1동 등 27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33.857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5.6%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11.9%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1.16배 높고 노인인구 비율이 14.0%로 서울시 평균인 16.1%보다 0.87배 낮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

강동구

닫기 아이콘

홈페이지https://www.gangdong.go.kr/web/portal/ko.do

강동구는 서울의 남동단에 위치하며, 총 인구수는 459,970명으로 서울의 4.8%에 해당하고 강일동, 삼일동, 길동 등 18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4.556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4.1%를 차지한다. 유소년 인구 비율이 11.8%로 서울시 평균인 10.3%보다 1.14배 높고 합계출산율 역시 0.784명으로 서울시 평균인 0.642명에 비해 1.17배 높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9년 1인당 보건예산액과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수치 수정하여 2022년 2월 14일에 재업로드 함